정부가 조사, 산정 뒤 발표하는 부동산 공시가격. <br /> <br />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부동산 관련 세금 부과 외에 각종 행정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 <br /> <br />건강보험료와 기초연금, 감정평가 등 활용 분야만 60여 개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공시가격에 따라 세금과 복지 혜택이 늘거나 줄 수도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중요한 지표인 만큼 '현실화율'을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시세보다 지나치게 낮다는 비판이 적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해 기준,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단독주택, 그리고 토지의 공시가격은 시세의 50~70% 수준. <br /> <br />조세 부담의 형평성과 복지제도의 공정성을 해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정부가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발표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김흥진 / 당시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 (지난해 11월) : 공시가격이 부동산의 적정 가치를 반영하도록 해 형평성과 균형성을 개선하고자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마련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따른 정부의 시세 반영 비율 목표치는 90%입니다. <br /> <br />시가 10억 원짜리 아파트의 공시가격을, 9억 원 수준으로 맞추겠다는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종류와 가격에 따라 소요 기간이 다른데, 시세 9억 원 미만 아파트는 2030년이 목표 시점입니다. <br /> <br />자연스럽게 갈수록 집값 인상에 따른 세금 부담은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복지 대상에서 탈락하는 사람도 나올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, 정부는 1세대 1주택자가 보유한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주택은 재산세율을 내리는 등 서민 부담은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이 크게 오른 상황이라 반발도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그럼 오늘 공개된 올해 부동산 공시가격, 얼마나 인상됐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 공동주택의 공시가격 평균 상승률은 19.08%로 집계됐는데요. 세종이 70% 넘게 급등해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공동주택의 시세 대비 공시가격, 그러니까 현실화율도 70.2%로 지난해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김현우 기자! <br /> <br />정부가 지난해 예고한 대로 공동주택, 그러니까 아파트의 공시가격을 시세의 70%까지 올렸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토부가 조금 전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안을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공동주택 천420만 호 가운데, 천308만 호, 92% 정도는 공시가격이 6억 원 이하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31513473520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